1588-9650
웹표준 및 접근성
웹표준이란 웹 표준화 단체 W3C가 권고한 표준안에 따라 제작하여 어떤 브라우저로
웹페이지에 접속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웹접근성이란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차별없이 모두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으로
주 목적은 웹 컨텐츠를 이용함에 있어 어떠한 상황이나 환경에 구애받지 않고
접근할 수
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.
웹표준이란?
홈페이지가 보일 수 있는 모든 곳에서 정상적으로 똑같이 보이게 하는 것
오프라인 문서를 웹에 동일하게 작성한 것으로 국제 표준화 단체인 w3c가 권고한 표준안에 따라 목적과 방법에 맞게 웹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기술을 말합니다. 현재 사용자들은 IE뿐만 아니라 파이러폭스, 오페라, 사파리 등 다양한 브라우저를 사용함에 따라 비표준방식의 제작형태로는 원활한 접근이 어려워졌습니다. 따라서 어떠한 운영체제나 브라우저를 이용하더라도 같은 결과물을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표준을 지켜 코딩하도록 해야 합니다.
전세계 브라우저 점유율
(http://gs.statcounter.com)
웹표준의 장점
웹접근성이란?
누구나 웹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.
웹 접근성이란 모든 인터넷 사용자가(장애인, 고령자 등이 포함된)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입니다. 일반적으로 웹 사이트는 장애를 가지지 않은 일반 사용자를 대상으로 만들어져 있어 특정 장애(시각, 청각 등)를 가진 사용자가 접근할 수 없거나 접근하기 불편하도록 되어 있습니다.
웹 접근성은 이러한 사용자의 신체적 환경적 조건에 관계없이 웹에 접근할 수 있고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침을 말합니다. 여기서 신체적 조건이란 장애인, 노인, 저시력자와 같이 분류할 수 있으며, 환경적 조건이란 네트워크 환경, 브라우저 유형, 저속사양컴퓨터, PDA같이 기타 하드웨어적인 측면을 말할 수 있습니다.
웹접근성의 장점